사업안내
1. 동‧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
○ 우리도 대표선수들의 경기력제고와 장애인체육발전 향상에 기여 ○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대비 전력보강 및 신인·우수선수 중점 육성 |
1-1. 제19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 참가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22. 2. 13. ~ 16. / 4일간 ○ 장 소 : 강원도 일원(춘천시, 강릉시, 평창군, 횡성군) ○ 종 목 : 7개 종목 |
선수부(6) | 알파인스키, 스노보드, 크로스컨트리스키, 바이애슬론, 아이스하키, 컬링 |
동호인부(3) | 빙상, 알파인스키, 크로스컨트리스키 |
○ 참가규모 : 966명(선수 485, 임원 및 관계자 481) ○ 참가인원 : 71명(선수 33, 임원 및 보호자 38) ○ 지원내용 : 훈련비, 체재비지원, 참가선수단 격려 및 입상자 포상 등 |
□ 대회결과
○ 참가결과 : 총 9개 메달획득(금 1, 은 2, 동 6) ○ 대회순위 : 종합 4위(11,430점) ※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인한 아이스하키, 청각컬링 경기 취소 |
□ 추진계획
○ 제19회 전국장애인동계체전 참가선수단 메달 포상금지급 : ‘22. 3월 ○ 제20회 전국장애인동계체전 참가선수단 구성 : ‘22. 10월 ○ 제20회 전국장애인동계체전 대비 동계 상비군훈련 개시 : ‘22. 11월~‘23. 2월 |
1-2.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
□ 사업개요
○ 대회명 :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○ 기 간 : ‘22. 10. 19. ~ 24. / 6일간 ○ 장 소 : 울산광역시 일원 ○ 종 목 : 30개 종목(정식 28, 시범 2) |
선수부(27) | 골볼, 농구, 당구, 댄스스포츠, 휠체어럭비, 론볼, 배구, 배드민턴, 보치아, 볼링, 사격, 사이클, 수영, 양궁, 역도, 요트, 유도, 육상, 조정, 축구, 탁구, 태권도, 휠체어테니스, 골프, 펜싱, 카누, 트라이애슬론 |
동호인부(18) | 게이트볼, 농구, 당구, 댄스스포츠, 휠체어럭비, 론볼, 배드민턴, 볼링, 사이클, 수영, 역도, 육상, 조정, 축구, 탁구, 골프, 슐런(시범), 쇼다운(시범) |
○ 참가규모 : 9,000명(선수 6,000, 임원 및 관계자 3,000) ○ 참가인원 : 230명(선수 150, 임원 및 보호자 80) ○ 지원내용 : 훈련비, 체재비지원, 참가선수단 격려 및 입상자 포상 등 |
□ 추진계획
○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도대표 선발 및 참가신청 : ‘22. 7월 ○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계획 수립 : ‘22. 9월 ○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종목별 대표자회의 : ‘22. 9월 ○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 : ‘22. 10. 19. ~ 24. |
2. 가맹단체 지원
○ 가맹단체의 행정 안정화 및 행정지원체계 지원을 통한 역량강화 ○ 장애인 체육활동의 권장 및 종목별 신인선수 발굴ㆍ육성 기반마련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1월 ~ 12월(12개월) ○ 지원대상 : 25개 가맹단체(경기단체 23, 유형별단체 2) ○ 지원내용 : 사무국 행정보조비 및 활동지원(공공요금, 임차료 등) - A등급 : 8개소 × 12월 - B등급 : 12개소 × 12월 - C등급 : 8개소 × 12월 |
□ 추진계획
○ 신규 가맹 경기단체(수영) 설립을 통한 선수 발굴·육성 기반 마련 ○ 2022년 가맹단체 운영지원을 위한 현장평가 실시 : ‘22. 1월 ○ 전문체육위원회 심의 및 가맹단체 지원 : ‘22. 3월 ~ 12월 |
3. 각종 체육대회 개최 및 참가 지원
○ 종목별 대회출전 지원을 통한 우수선수 발굴 및 경기력 향상 제고 ○ 종목별 대회 개최 및 참가 지원을 통한 장애인체육 활성화 도모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3월 ~ 12월(9개월) ※ 예산 소진 시까지 ○ 지원대상 : 경기 및 유형별 단체 등 기타 관련단체 ○ 지원내용 : 대회 개최 및 참가 지원 - 전국단위 대회개최 - 도단위 대회개최 - 도대표 선발전 개최지원 - 종목별 대회참가 - 하계스페셜대회참가 |
□ 추진계획
○ ‘22년 종목별 대회 개최 및 참가 일정 파악 : ‘22. 3월 ○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등위부상을 위한 종목별 대회 참가 지원 ○ 종목별 참가 지원을 통한 종목별 경기력 및 전력 균등 향상 ○ 대회 개최에 따른 신인, 우수선수 발굴 및 종목 활성화 유도 ○ 사업 결과 및 정산보고 : ‘22. 12월 |
4. 실업팀 육성 지원
○ 장애인 실업팀 창단 지원으로 장애인 선수들의 훈련 여건 보장 ○ 직업적 안정으로 경기력 향상 도모와 타 시·도 선수 유출 방지 |
□ 사업개요
○ 지원대상 : 시군(장애인)체육회 및 민간기업 등 ○ 지원내용 : 훈련비, 장비구입비, 창단비용 등 |
(단위: 천원)
구분 | 지원기준 | 지원금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시군(장애인)체육회및 민간기업 등 * 최초 1회지원 | 단체종목 5인 이상(지도자 및 선수) | 50,000 | 창단식 개최비용 및 장비, 용품 지원 |
개인종목 3인 이상(지도자 및 선수) | 30,000 | ||
민간기업 및 기타 | 30,000 | ||
동 기관 추가 3인 이상 창단 시 | 20,000 |
○ 지원종목 : 장애인체육회 정가맹(동·하계) 종목 |
□ 추진계획
○ 실업팀 운영지원 기본계획 수립 및 공모 ○ 실업팀 창단 단체·기업 현황 파악 및 하반기 지원계획 : ‘22. 7월 ~ 12월 |
5. 직장운동경기부 운영
○ 장애인 선수의 경제적 안정과 훈련환경 개선을 통한 경기력 향상 ○ 장애인체전 등위부상 및 장애인올림픽 등 국제대회 상위입상을 위한 전략 종목 지원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1월. ~ 12월.(12개월) ○ 종 목 : 보치아, 육상, 휠체어컬링 ○ 선수구성 : 총 16명(지도자 4, 선수 12) - 보치아팀 : 총 5명(감독 1, 코치 1, 선수 3) * 창단 : ‘19. 7. - 육 상 팀 : 총 5명(감독 1, 선수 4) * 창단 : ‘20. 7. - 컬 링 팀 : 총 6명(감독 1, 선수 5) * 창단 : ‘21. 12. ○ 지원내용 : 인건비, 훈련비, 장비구입비, 임차비 등 |
□ 추진계획
○ 직장운동경기부 기본 운영계획수립 : ‘22. 1월 ○ 대회참가 지원 및 훈련지원 : ‘22. 연중 ○ 직장운동경기부 소속 선수 국제대회 참가 |
6. 체육교류/참가/훈련 지원
○ 도내 국가대표급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도모 및 강원도 이미지 향상 ○ 선진 장애인체육의 수용을 통한 도내 장애인체육 발전에 기여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1월. ~ 12월.(12개월) ○ 지원대상 : 우리도 소속 상비군 선수 및 가맹단체 ○ 지원내용 : 국내·외 체육교류, 참가, 훈련지원 - 제주도 체육교류 - 국제 체육교류(돗토리현, 태국) ※ 국제교류 예산 미반영 |
□ 추진계획
○ ‘22년 교류 계획수립: ‘22. 3월 ○ ‘22년 교류 일정(안) - 제주도 교류전 : 6월(초청) / 12월(방문) - 돗토리현 교류전 : 미정(초청) - 태국 교류전 : 미정(방문) |
7. 국제대회 포상금 지원
○ 우리도의 명예를 거양한 선수에 대한 포상으로 소속감 함양 ○ 격려 및 관심표명을 통해 우수선수 유출 방지 및 애향심 고취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1. 1월 ~ 12월(12개월) ○ 지원대상 : 국제대회 입상한 우리도 소속 선수 및 팀 ○ 지원내용 : 국제대회 포상금 지원 |
□ ‘22년 국제대회 참가 현황(예정)
연번 | 대회명 | 종목 | 구분 | 성명 | 등급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022 제13회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(2022. 3. 4. ~ 13. / 중국) ※ 국가대표 선발 출전확정 | 아이스하키 | 코치 | 김정호 | 비장애 | 직장운동경기부(아이스하키팀) |
선수 | 이종경 외 11 | 지체 | ||||
2 | 2021년 제24회 카시아스두술 데플림픽 (2022. 5. 1. ~ 15. / 브라질) | 볼링 | 선수 | 이찬미 | DB(청각) | |
축구 | 선수 | 위석민 | DB(청각) | |||
태권도 | 선수 | 김다은 | DB(청각) | |||
3 | 제4회 항저우 아시안 패러게임 (2022. 10. 9. ~ 15. / 중국) | 보치아 | 선수 | 정호원 | BC3(뇌성) | 직장운동경기부(보치아팀) |
□ 추진계획
○ ‘22년 국제대회 개최 및 참가선수단 현황 파악 : ‘22. 1월 ○ 국제대회 참가 격려금 및 포상금 지급 : 귀국 후 14일 이내 신청 후 지급 |
8. 장애인체육 전문인 육성 지원
○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대비 도내 종목별 전문 심판·지도자 육성 ○ 장애인체육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종목별 지도자 양성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3월 ~ 12월(12개월) ※ 예산 소진 시까지 ○ 지원대상 : 장애인체육회 등록단체 및 선수·장애인체육 관련단체 관계자 ※ 비장애인 체육 관계자 중 장애인체육에 관심 있는 경우 지원 가능 ○ 지원내용 :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참가 지원 및 프로그램 개설 지원 |
□ 추진계획
○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참가 지원 및 프로그램 개설 지원 ○ 가맹단체, 장애인체육 관련단체 관계자 및 등록선수 대상으로 지원자 모집, 지원 ○ 종목별 전문인(지도자, 심판)육성 지원 홍보 및 신청에 따른 지원 ○ 종목별 강습회 1회 최대 6명 기준 지원(※ 종목별 형평성 안배) |
9. 우수선수 육성 지원
○ 우수선수 및 경기단체 지원을 통한 경기력 향상과 전력강화 도모 ○ 전국 장애인 동·하계체육대회 참가 우수선수 유출방지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1월 ~ 12월(12개월) ○ 지원대상 : 전국 장애인 동·하계체육대회 입상선수 및 가이드 등 ○ 지원내용 : 우수선수 훈련 지원 ○ 지원기준 : |
구분 | 하계체전 | 동계체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지원기준 | 개인종목 | 개인종합 1,000점 이상 획득선수단, 세부종목 3개 미만 출전 시600점 이상 획득선수 | 세부종목 300점 이상 획득하고,개인종합 500점 이상 획득 선수 | |
단체종목 | 4위 이상 입상 팀(단, 해당 종목별 참가 시도 6개 이상 시) |
□ 추진계획
○ 2022 우수선수 육성지원 계획 수립 : ‘22. 2월 ○ 전문체육위원회를 통한 우수선수 심의 및 지원 : ‘22. 3월 ○ 사업 결과 및 정산보고 : ‘22. 12월 |
10. 상비군 육성 지원
○ 전국체전 상비군 조기 선발 및 집체훈련을 통한 경기력 향상도모 ○ 강화훈련 계획 수립하여 훈련환경 개선 및 점검을 통한 등위부상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약 2개월(전국체전 참가 전) ○ 지원대상 : 도대표 선발 선수 ○ 지원내용 : 훈련비 및 용품 지원 - 하계종목 훈련비 - 동계종목 훈련비 - 컬링팀 훈련지원(농아인컬링) - 대회출전 대비지원(용기구 구입 및 수리) |
□ 추진계획
○ 동계체전 상비군 훈련지원 : ‘21. 12월 ~ ‘22. 2월 ○ 상비군 육성지원 운영 기본 계획 수립 : ‘22. 1월 |
11. 경기지도자 배치 지원
○ 전략 및 취약종목 전문지도를 통한 종목별 경기력 향상 실현 ○ 기존 우수선수 보강배치 및 전력분석으로 경쟁력 강화 도모 |
□ 사업개요
○ 기 간 : ‘22. 1월 ~ 12월(12개월) ○ 지원대상 : 3명(배드민턴, 사이클, 탁구) ○ 지원내용 : 인건비 지원(6개월분) |
□ 추진계획
○ 2022 경기지도자 운영 및 신규 경기지도자 채용계획 수립 : ‘22. 1월 ○ 경기지도자 운영 : ‘22. 1월 ~ 12월 |